2022-11-03 16:30-16:50 [C4-2] 관성 및 복합항법
연속복합측위 지원을 위한 측위참조데이터 모델링
유재준*, 김민정, 이양구, 임영재
실외 공간에서 위성항법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측위가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르게, 위성신호가 닿지 않는 음영지역지역에서는 측위를 위해 WiFi, BLE, LTE/5G 및 지자기 등을 이용하는 측위기술이
사용되며, 이는 다양한 신호 및 센싱 값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측위지원 정보로 일컬어질 수 있다. GNSS 음영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측위지원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함으로 인해, 실내외 공간에
서 연속적으로 끊임없는 측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측위지원 데이터에 따라 적절한 측위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상 GNSS 음영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측위지원 데이터의 유형과 그 속성 등을 상호
운용성 있게 구축, 조회 및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실내외 공간에서의 연속복합측위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측위지원 데이터를 대상 공간과 연계하는 모델을 제안하도록 한다. 이는 연속복합측위를 지원함
과 동시에, 대상 공간에서 가장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측위 기술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Modeling of Positioning References for Continuous and Composite Positioning
JaeJun Yoo*, MinJeong Kim, YangKoo Lee, YoungJae Lim
Unlike the popular use of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in outdoor space, positioning technologies using WiFi, BLE, LTE/5G, and geomagnetism are used for positioning in shaded areas where satellite signals do not
reach. and it utilizes information about various signals and sensing values. Such data may be generally referred to as positioning assistance information. Due to the variety of positioning support data that can be used in GNSS
shaded areas, in order to continuously support continuous positioning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an appropriate positioning method must be used according to the available positioning support data.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inquire, and access the types and properties of positioning support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target GNSS shadow area in an interoperable manner. Therefore, in this paper, to support continuous complex positioning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we propose a model that links various positioning support data with the target space. This supports continuous complex positioning and at the same time can help in the selection of positioning
technology that can be most optimally utilized in the target space.
Keywords: indoor-outdoor continuous positioning, positioning references
|
Speaker 유재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