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Date : 21-01-12 10:36
   [A1-3]박종근건국대.pdf (301.8K)
Analysis of GBAS Tropospheric Residual Uncertainty Model Variables using Gimpo Meteorological Data
Jong-Geun Park, Jongsun Ahn, Hyang-Sig Jun, Dong-Min Kim, Sangkyung Sung, Young Jae Lee


GPS 측정값을 활용하여 항공기의 정밀 접근 및 이착륙을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값 확보를 위해 GPS 신호 생성 및 전송 과정 중에 발생하는 오차 요인들의 제거 과정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더 높은 정확도 향상을 위해 기존 GPS 보다 정확성이 높고 오류가 없는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이 항공기의 공항 정밀 접근 및 이착륙 시스템으로 전세계에서 개발 중이다. 하지만 GBAS에도 기준국과 항공기 사이에는 고도 차이가 있어 대류권 지연 오차의 크기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GBAS 기준국과 항공기 사이의 대류권 잔차를 보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고도에 따른 대류층 보정값의 불확실성을 감안하기 위한 잔차 불확실성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김포지역에서 측정된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GBA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Protection level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GBAS 대류권 잔차 불확실성 모델에 사용되는 매개변수인 Refractivity index, Refractivity scale height, Refractivity uncertainty의 1년치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GBAS 장비에 적용될 대류층 잔차 불확실성 모델의 적합성 판단하여, GBAS Protection level의 신뢰성을 향상과 향후 국내에 설치될 GBAS 시스템 설치과정에 있어 각 지역의 GBAS 대류층 잔차 불확실성 모델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대류권 지연 오차 (Tropospheric Error), 지역기반 위성항법보강 시스템 (GBAS), 보정정보 (PRC), 불확실성 모델 (Considering Model)